여기에 최근 급등한 레미콘, 철근 가격 상승분을 반영해 기본형 건축비도 1.53%
인상된다. 이 같은 분상제 개편과 건축 원자재값 인상으로 분양가도 덩달아 상승하는
추세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은
㎡당 약 440만4000원으로, 3년 전인 2019년 7월 말 354만7000원 대비 24.16% 올랐다.
전용면적 61~85㎡이하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85만6000원(357만원→442만6000원) 올랐는데,
이를 환산하면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7190만원 이상 오른 셈이다.
9월 이후 분양가 상승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일시멘트와 삼표시멘트 등
시멘트 업계가 다음달 1일부터 가격을 t당 최대 15% 인상키로 하면서 대부분 시멘트
가격도 t당 10만원을 웃돌기 때문이다. 레미콘 가격 상승은 건설 현장의 건축비 상승으로
이어져 분양가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집 값은 내리고 있는데,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기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조사를 보면, 8월 셋째 주(1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01%p 커진 0.09%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5월 30일(-0.01%) 하락 전환한
이후 12주째 내림세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도 전주 대비 -0.09% 떨어지며
지난주(-0.07%)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176개 시군구 기준 전주 대비 아파트값 하락
지역은 151곳으로 지난주보다 13곳 늘었다.
무주택자인 40대 김모씨는 "집 값이 하향 추세여서 상황을 지켜 본 뒤 내년 이후 내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는데, 최근 분양가 인상이 예고되면서 미리 청약에 나서야할 지 고민"이라며
"적정한 청약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30대 무주택자 최모씨는
"지난 5년간 집값이 너무 올라 내집 마련에 엄두도 못냈지만, 최근 집값이 하향 추세여서
내집 마련을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분양가가 오르는 추세여서 당분간 추이를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220824050025975
청약 나설까, 급매물 살까..내집 마련 언제 | Daum 부동산
주택 종합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그래픽=정기현 기자 주택 종합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그래픽=정기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수년간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집값이 최근 하향 안정 추세에
realestate.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희룡 "장관직 걸고 추진"..1기 신도시 재건축, 5년내 될까 (0) | 2022.08.24 |
---|---|
분당주민들 "1기 신도시 마스터플랜,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하라" (0) | 2022.08.24 |
서울시, '화정아이파크 붕괴' HDC현산 청문..내달 처분 결정 (0) | 2022.08.23 |
"새 아파트 전세 사실 분 없나요"..성남 수원 '입주폭탄' (0) | 2022.08.23 |
'수요예측 실패'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1년 운영비 180억 든다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