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적정가 대비 50%이상 고평가돼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역대 최고 수준의 고평가
단계에 와 있으며, 향후 3년간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2일 인공지능(AI)기반 부동산 앱 서비스 '리치고'가 개발한 '전세대비 저평가 인덱스'에
따르면, 2022년 8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값은 적정가 대비 51.2% 고평가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치고는 자체 개발한 AI 시스템을 통해 아파트 적정가격을 추산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된 지표는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다.
전세 실거주 자체는 투자 수요가 사실상 없어 부동산의 실제 가치와 수요에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부동산 본질 가치에 더욱
가깝다는 가정이 가능하다. 전세대비 저평가 인덱스'는 이 점에 착안해 만들어진 지표다.
리치고는 "5년간의 전세 증감률과 매매 증감률을 비교해 전세 상승 대비 매매
상승이 낮다면, 매매가격이 아직은 저평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매매 가격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전세대비저평가 지수는 -51.2%다.
이는 전세가격 대비 매매가격이 51.2% 고평가 돼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게 리치고의 주장이다.
연 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 비율(PIR: Price Income Ratio)도 주택 가격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다. PIR이 10이면 처분가능소득을 10년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았을 때,
중간 가격의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PIR은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데, 리치고의 PIR은 처분가능소득
(소득에서 이자,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 비용을 제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이 기준에 따라 측정된 2022년 8월 서울의 PIR은 25.5다.
비교기간(2004.01~2022.08)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리치고는 "비교대상 기간의 평균 PIR은 17이기에, 약 50%가량 고평가된 셈"이라면서
"다양한 지표를 감안할 때 현재 서울 아파트 가격은 역대 가장
고평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리치고는 "일각에서는 입주 물량 부족으로 인해 단기적인 큰 폭의 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리치고 AI 미래가격 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향후
3년간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v.daum.net/v/20220902152651451
"서울 아파트값, 50%이상 고평가..역대 최고수준 거품"
전국 아파트값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적정가 대비 50%이상 고평가돼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역대 최고 수준의 고평가 단계에 와 있으며, 향후 3년간 하락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소각장 지으면 집값 떨어진다?..인근 아파트값 살펴보니 '글쎄' (0) | 2022.09.05 |
---|---|
송도보다 더 심각하다…전세값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 (0) | 2022.09.05 |
"광명마저 이럴 수가"..10억 코앞에 두고 6억대로 털썩 (0) | 2022.09.05 |
사람 날리는 '힌남노' 한반도 할퀸다…5일 물폭탄 ·6일 통영 상륙 (0) | 2022.09.04 |
부동산 전문가 5人이 말하는 추석 이후 집값 전망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