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소각장 악재 이슈에서 벗어나 집값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사라졌다"
서울시가 마포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증축안을 발표한 직후 당초 후보지로
거론된 강동구 고덕동 일대 일부 주민들은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이런 반응을 내놨다.
이 말대로 쓰레기소각장이 주변 집값에 정말 '악재'로 작용했을까.
일원동 '수서 1단지' 전용 39.98㎡은 올해 6월 10억3000만원에 매매됐다.
전용 59㎡는 지난해 12월 15억7000만원에 매매됐다. 주변 단지보다 낮은 가격대지만
소형 평형인 점을 고려하면 특별히 낮다고 볼 수 없다. 유명 학원가가 위치한 대치동과
가까워 임대차 수요는 꾸준하다는 게 주변 공인중개소 관계자들의 얘기다.
양천자원회수시설은 시내 유명 학군지로 꼽히는 목동에서도 재건축 대장주로 가장
시세가 높은 신시가지1단지 바로 앞에 위치했다. 이 아파트 전용 90.06㎡은 올해
6월 20억8000만원에 매매됐다. 주변 10층 이상 중고층 단지 같은 평형 가격대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 같은 면적이라도 지분이 더 넓기 때문이다.
마포자원회수시설과 가까운 '상암월드컵파크' 단지도 전용 84㎡ 기준 최근 실거래가가
12억~13억원대에 형성돼 시내 다른 지역과 견줘 낮지 않다. 일대는 TBS, JTBC, tvN 등
방송사와 컨텐츠 대기업이 다수 입주했고 3개 철도노선이 지나는 트리플 역세권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위치했다. 자원순환시설 확충으로 가격이 급락할 입지가
아니라는 게 여러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시는 소각장 굴뚝자동측정시스템(CleanSYS)을 통해 대기질을 매월 측정하고 있다.
이 결과를 보면 유해물질 배출치가 모두 기준치 이하다.
일례로 배출 허용 기준이 4.8ppm인 벤젠은 4곳 모두 올해 6월 말 기준 하나도
검출되지 않았다. 포름알데히드는 노원자원회수시설 1곳에서 0.008ppm 검출됐으나
기준치(6.4ppm)를 크게 밑돈다. 자원회수시설과 거리가 떨어진 지역에서도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수준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외에도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유해물질도 배출 허용기준을 크게 밑돌거나
거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https://v.daum.net/v/20220904140002806
쓰레기소각장 지으면 집값 떨어진다?..인근 아파트값 살펴보니 '글쎄'
"쓰레기소각장 악재 이슈에서 벗어나 집값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사라졌다" 서울시가 마포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증축안을 발표한 직후 당초 후보지로 거론된 강동구 고덕동 일대 일부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택 종부세 특별공제 불발..21만4000명 '대혼란' (0) | 2022.09.06 |
---|---|
석 달 만에 2억 '뚝'.."연수구서 빼달라" 속타는 송도 집주인들 (0) | 2022.09.06 |
송도보다 더 심각하다…전세값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 (0) | 2022.09.05 |
"서울 아파트값, 50%이상 고평가..역대 최고수준 거품" (0) | 2022.09.05 |
"광명마저 이럴 수가"..10억 코앞에 두고 6억대로 털썩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