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에서 지난 3개월간 전세 계약이 이뤄진 연립·빌라의 평균 전세가율이
100%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가율이란 집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이다.
전세가율이 100%를 넘었다는 말은 전세가격이 시세보다 높다는 것으로
이른바 ‘깡통전세’ 상태라는 뜻이 된다.
같은 기간 수도권과 서울도 연립·빌라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고,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율 평균 역시 75%대에 근접하는 등 깡통전세 우려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실거래가 정보를 바탕으로 각 광역시·도의 최근 석달간
전세가율을 조사(8월 기준)한 결과 연립·빌라의 전세가율은 전국 83.1%로 집계됐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세입자가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지역별로는 세종시 연립·빌라의 전세가율이 104.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충남(93.6%),
인천(88.2%), 경남(86.0%), 경기(83.6%), 제주(83.3%) 등의 순이었다.
서울의 연립·빌라 전세가율은 81.2%로 전국 평균보다는 낮았지만, 자치구별로
강동구(88.7%), 광진구(86.5%), 강서구(86.4%) 등은 평균보다 높았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평균 전세가율은 83.7%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비수도권 아파트도 이미 위험 수위…세입자들 보증사고 속출
상대적으로 주택가격이 높은 서울의 경우 낙찰가율(92.0%)이 전세가율 대비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인천(82.0%)과 경기(80.0%)의 경우 낙찰가율이 모두
전세가율보다 낮게 형성됐다. 세종의 경우 낙찰가율이 77.0%에 머물러 연립·빌라
전세가율과의 격차가 30%포인트 수준에 달했다.
연립·빌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깡통전세 위험이 덜한 아파트도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같은 조사에서 아파트의 전국 기준 전세가율은 74.7%로 집계됐다. 서울(62.0%)과
수도권(69.4%)은 다소 여유가 있지만 비수도권은 78.4%로 위험선인 80%대에
근접했다. 경북(87.0%), 충북(84.3%), 전북(83.1%), 전남(82.7%), 충남(81.8%),
경남(81.4%), 울산(80.9%) 등은 이미 80%를 돌파했다. 세종(54.3%)의 경우 아파트는
연립·빌라에 비해 깡통전세 우려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v.daum.net/v/20220914210807418
세종시 연립·빌라 전세가율 100% 넘어..'깡통전세' 우려 확산
세종시에서 지난 3개월간 전세 계약이 이뤄진 연립·빌라의 평균 전세가율이 100%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가율이란 집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이다. 전세가율이 100%를 넘었다는 말은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빈관 옮길거야" 김건희 여사 말대로…신축 예산 878억 (0) | 2022.09.16 |
---|---|
부동산 규제지역 해제로 '세제·대출 완화' 퍼즐 풀까 (0) | 2022.09.16 |
"집값은 떨어지는데".. 대전 첫 평당 분양가 2000만원대 나오나 (0) | 2022.09.15 |
"집값 2년 전 수준됐는데..재산세 더 내라니" 납세자 분통 (0) | 2022.09.15 |
'집값 담합' 신고해도 처벌은 미미..10건 중 8건 무혐의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