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집값이 30% 이상 급등했던 인덕원·시흥 아파트 값이 올 들어
‘뚝뚝’ 떨어지고 있다. 교통 호재로 단기 급등했던 이들 지역은 부동산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수억원씩 하락한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들어 인덕원 아파트 가격은 3.86% 하락했다.
지난해 31.94% 급등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인덕원이 올해는
빠르게 추락하고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열차(GTX)-C노선의 인덕원역, 의왕역
정차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폭등한 것과 비교하면 불과 1년도 채 안되 시장
분위기가 급변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의왕시 포일동
‘인덕원푸르지오엘센트로’ 전용면적 84㎡는 지난 7월 11억9000만원(27층)에 거래됐다.
의왕시 포일동 ‘푸른마일 인덕원 대우’ 전용면적 84㎡는 지난 7월 7억2000만원(5층)에
거래됐다. 이는 작년 10월 최고가 9억4000만원(5층)보다 2억2000만원 떨어진 것으로
2020년 가격(12월)으로 돌아갔다. 지난해 인덕원에 이어 전국에서 집값 상승 2위에
올랐던 경기도 시흥 아파트 가격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시흥 아파트
가격은 4.54%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작년 30.58% 올랐던 이 지역 집값
역시 속절없이 빠지고 있다.
지난해 GTX, 신안산선, 월곶판교선 등 교통 호재가 이어지면서 매수세가 몰렸던
이들 지역은 올 들어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집값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수도권 외곽 지역 집값 조정이 하반기에도 이어지리라 전망했다.
양지영 양지영R&C연구소 소장은 “이들 지역은 GTX 수혜를 받았던 지역인데 사업
자체가 길어질 수 있다는 불투명성 때문에 집값이 하락하고 있다”며
“수도권 외곽지는 집값이 오를 때 가장 늦게 오르고 하향 안정화 시기에는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들 지역 역시 GTX 호재와 저평가 인식에 작년 크게 올랐는데 단기간
급등했다는 인식에 거품이 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20921050105882
작년 30% 올랐던 인덕원·시흥..1년만에 '뚝뚝'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지난해 집값이 30% 이상 급등했던 인덕원·시흥 아파트 값이 올 들어 ‘뚝뚝’ 떨어지고 있다. 교통 호재로 단기 급등했던 이들 지역은 부동산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수억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지역 풀렸다..세종 제외 (0) | 2022.09.22 |
---|---|
23일부터 3억이하 지방주택 가진 2주택자에 1주택 종부세 (0) | 2022.09.22 |
둔촌주공 '1.8억 분담금' 폭탄에.."이건 아냐" vs "공사 속개" (0) | 2022.09.22 |
신당역 스토킹 보복살인 - 전주환 (0) | 2022.09.21 |
'사업지연' 둔촌주공 공사비 3.2조→4.3조..1인당 1.8억 더 낸다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