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EorZA/btr3S2gaOHc/wIF1dzJMtk4tgggnw80HO0/img.jpg)
경찰청은 14일 '2023년 전국 교통경찰 워크숍'을 열어 도심 차량 제한속도를
일부 상향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보행자의 도로 횡단 가능성이 작거나 교량이나 터널 등 보행자 접근이 어려운
구간에서는 도심 주행속도 제한을 시속 50㎞에서 60㎞로 높이기로 했다.
간선도로에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도 시간대별로 제한속도를 올리거나 내리는
'탄력적 속도제한'을 추진한다.
이번 조치는 2021년 4월 도입된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전면
재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심 제한속도를 일괄적으로 시속 50㎞에 맞춰 교통사고를 줄이자는 것이 이 제도의
이유였는데 이번 조치처럼 광범위한 예외 사항을 허용하면 정책의 취지가
사라지는 셈이어서다.
안전속도 5030은 도심부 간선도로는 시속 50㎞, 어린이 보호구역과 주택가 등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주행속도를 제한하는 정책이다.
경찰이 지난해 초 발표한 '안전속도 5030 종합 효과분석 연구'에 따르면 2021년 일반
도로에서는 사망자가 7.7% 감소하지만 주행속도가 제한된 도로의 사망자 감소
효과는 27.2%였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후 지난해 4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5030 정책을
완화하고, 제한속도 상향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고, 경찰도 정부의
정책 방향에 발을 맞춘 것이다.
경찰은 이미 지난해 말 현재 전국 18개 시·도 109개 구간 246.95㎞의 도로에서 제한속도를
시속 50㎞에서 60㎞로 올렸다. 어린이보호구역 9개소에서는 야간 시간대 속도
상향을 시범운영 중이다.
이와 관련해 윤희근 경찰청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안전속도 5030 정책 폐기가 아닌 수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EY2LV/btr3Q9GU9CR/lgoyPMpMBkGUIcO68zPYWk/img.jpg)
경찰청은 아울러 대각선 건널목과 동시 보행신호의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이를 어린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확대키로 했다.
또 번호판이 뒤에 있는 이륜차 단속을 위해 '후면 무인 교통단속용 장비'를
도입하기로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314096100004?section=society/all&site=major_news02
도심 제한속도 최고 시속 60㎞로…'5030' 사실상 폐기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순현 기자 = 경찰이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도심 차량 제한속도를 낮추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사실상 폐기하기...
www.yna.co.kr
'ღ(˘ܫ˘) = CAR CAR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형 트랙스 트림 정리 (0) | 2023.03.22 |
---|---|
폭스바겐, ID. 2all 컨셉카 최초 공개...2025년 양산 예정 (0) | 2023.03.21 |
쌍용자동차의 새로운 전기차, 토레스 EVX (0) | 2023.03.18 |
콘셉트카와 별 차이 없는 EV9 (0) | 2023.03.16 |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포착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