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전세사기의 온상이었던 연립·다세대의 '깡통전세'
위험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을 의미하는 전세가율이 지난달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데다가,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위험선인 80%를 밑돌았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은 70.7%다.
이는 지난해 8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저치다.
한국부동산원은 해당 월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간의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가율을 집계한다.
전세가율은 높을수록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커진다.
통상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에서 '깡통전세'라 불린다.
전국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지난해 9월 83.4%에 달했으나 꾸준히 낮아졌다
서울은 69.3%로 이번에 처음으로 70%를 밑돌았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곳이 한 곳도 없었다.
강동구가 75.9%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성북구(75.6%), 송파구(75.3%),
강서구(75.1%), 관악구(75.1%), 강북구(74.8%) 등 순이었다.
인천은 각각 77.6%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전세사기 피해지역인 인천 미추홀구는
지난 2월 96.9%로 전세금이 집값에 다다랐으나 지난달에는 85.2%로 완화됐다.
경기는 70.6%다.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71.0%, 69.3%다. 지방 시도 가운데는 충북이 84.5%로
가장 높았고 전남(83.5%), 강원(79.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깡통전세 위험이 완화된 데는 정부가 전세사기 대책으로 보증보험 가입을
위한 전세가율 요건을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 5월부터 보증보험 가입요건을 강화한 뒤 6월붙터 5개월
연속 전국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71%대에서 머물렀다.
https://v.daum.net/v/20231231060019835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무서워" 믿을 건 아파트 뿐… (0) | 2024.01.17 |
---|---|
깐깐해진 HUG 보증 기준에… ‘올해 만기’ 빌라 전세 66%는 ‘가입 불가’ (0) | 2024.01.13 |
"내가 살 테니 나가" 못한다…대법 "집주인 실거주 증명해야" (0) | 2024.01.07 |
"서울아파트 전세 오른다" 96% … 공급 늘릴 비책은 '재초환 폐지' (0) | 2024.01.05 |
재건축 ‘안전진단’까지 풀어도…“더, 더, 더”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