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지난 2020년 수도권에 아파트를 매수한 뒤 바로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11월 전세 계약 만료를 앞두고,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다고 했다.
하지만, A씨는 세입자가 재계약한 2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이사를 갈 경우 '상생임대인'에서
제외돼 양도시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할 까봐 걱정이다. A씨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뒤
5% 임대료를 인상하면 비과세 혜택을 준다고 하지만 계약 기간 중 임차인이 다른 곳으로
이사갈 경우 세입자를 구해야 한다"며
"이 경우에도 당초대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1대책에서 전셋값을 5% 이내로 인상하는
'상생임대인'에 대한 비과세 방안이 발표된 되자 임대차(전·월세)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상생임대인 대상 여부와 비과세 혜택 방안을 묻는 문의가 중개업소는 물론 세무당국,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 쇄도하는 등 임대인들의 셈법이 분주해지고 있다. 이번 대책이
시장에 파급력을 미치면서 오는 8월 임대차3법상 계약갱신청구권 첫 만료에 따른
전셋값 급등 우려도 해소되는 분위기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소와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6·21 대책을 발표한 직후 전세값을 5%
이내로 인상하는 상생임대인과 관련한 집주인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대부분 상생임대인 대상 여부와 세제 혜택 방안을 묻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지난 21일 임대료를 직전 계약 대비 5% 이내로 인상한 상생임대인을 대상으로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완화하는 등 '임대차 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2017년 8월 3일 이후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에서 취득한 주택을 양도할 때 비과세를
받기 위해서는 2년 이상 거주 요건을 채워야 한다. 하지만 상생임대인에 대해 이를
면제해 주기로 했다. 최대 80%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기 위한
2년 거주 요건도 함께 면제된다. 상생임대인 제도가 처음 시행된 지난해
12월20일 이후 임대계약에 대해 다음 달부터 혜택이 적용된다.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220623182435363
시세대로 올릴까, 양도세 감면받을까.. 상생임대인 셈법 분주 | Daum 부동산
#. A씨는 지난 2020년 수도권에 아파트를 매수한 뒤 바로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11월 전세 계약 만료를 앞두고, 세입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다고 했다. 하지만, A씨는 세입자가 재계약
realestate.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생 임대인 Q & A (0) | 2022.06.25 |
---|---|
대전·세종·충남 주택사업경기 전망 '먹구름' (0) | 2022.06.24 |
주택 45채 싹쓸이·8세집주인..외인투기 칼빼든 국토부 (0) | 2022.06.24 |
'기획부동산 사기의혹' 집단고소 이어질듯 (0) | 2022.06.23 |
둔촌주공 25평형 분양가 8억8750만원→9억75만원..중도금 대출 막힐 수도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