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에 따르면 직전 고시(3월) 대비 자재가격 변동률은 레미콘이 7.84%,
창호유리가 1.0% 각각 오르고 철근은 4.88% 내렸다. 노임단가 변동률은 보통
인부 2.21%, 특별인부 2.64%, 철근공 5.01% 각각 상승했다.
기본형 건축비는 분양가 상한 구성 항목(택지비+기본형건축비+건축·택지 가산비)
중 하나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분양가 산정에 활용된다.
정기 고시는 매년 3월13일, 9월15일 두 차례 한다. 다만 레미콘과 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
5개 품목의 가격이 정기 고시 이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15% 이상 오르면 비정기
고시로 조정할 수 있다.
원자잿값 급등으로 지난해 기본형 건축비는 3월(2.64%), 7월(1.53%), 9월(2.53%) 등
세 차례에 걸쳐 총 6.7% 상향 조정됐다. 이는 국토부가 기본 건축비 고시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다.
올해도 이번이 세 번째 인상이다. 앞서 2월 비정기 고시 때 직전 고시(2022년9월) 보다
1.1% 올렸고, 3월 정기 고시 땐 전월 대비 0.9% 인상했다.
이로써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인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와 공공택지 새 아파트의 분양가 추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7월 전국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m²(1평)당 1626만원으로 전년 동월(1453만원) 대비 11.9%가량 올랐다.
개정된 고시는 이달 15일 이후 입주자모집 승인을 신청하는 단지부터 적용된다.
https://v.daum.net/v/20230914110003108
상한제 기본형 건축비 1.7% 상승…분양가 더 오르나
기본형 건축비가 반년 만에 1.7% 오른다. 이로써 서울 강남3구·용산 등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는 공동주택의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콘크리트 등 자재비와 노무비 인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심상찮은 매물 증가세…보름 만에 5000건 늘었다 (0) | 2023.09.23 |
---|---|
SH, 공공임대로 매년 1.3조 사회 기여 (0) | 2023.09.22 |
'악성 미분양' 감소…시장 회복 신호? (0) | 2023.09.20 |
인스타 보고 맘에 든 집 '허위 매물'… 엉터리 부동산 광고 (0) | 2023.09.19 |
서울 '신속통합기획' 사업지 속속 지정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