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으로써 매년 서울시민의
주거비 약 1조3000억원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H는 공사가 소유한 13만5441가구의 공공임대주택 임대액(임대보증금 및 임대료)과
민간 시세를 비교한 결과, SH 임대액은 시세의 31.9%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서울시민이 SH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함으로써 얻는
주거비 경감 기여액은 1조2943억원에 이른다고 SH 측은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SH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비 경감 기여액은 2012년 약
3418억원이었으며, 이후 지속 상승해 지난해에는 약 1조2943억원으로 늘었다.
SH 공공임대주택은 아파트 월세형 7만9288가구(59%), 아파트 전세형 2만5797가구(19%),
매입임대 3만356가구(22%) 등으로 구성되며, 아파트의 주거비 경감 기여액은
1조2022억원으로 전체의 93%를 차지했다.
여기에 SH가 관리하는 서울시 및 리츠 소유 공공임대주택까지 더하면 전체 가구
수는 22만가구로, 주거비 경감 기여액은 2조983억원에 이른다.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비 경감 기여액은 장기전세주택이 가구당 1417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2012년 147만원에서 지난해 1417만원으로 9.6배 늘어나 타 임대주택
유형에 비해 주거비 경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개발임대의 경우에는 가구당 972만원, 국민임대의 경우 1192만원,
영구임대의 경우 902만원이다.
https://v.daum.net/v/20230915125655094
SH, 공공임대로 매년 1.3조 사회 기여…"세제 지원 필요"(종합)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으로써 매년 서울시민의 주거비 약 1조3000억원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H는 공사가 소유한 13만5441가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감소 시대라는데…집은 왜 계속 부족할까 (0) | 2023.09.24 |
---|---|
서울 심상찮은 매물 증가세…보름 만에 5000건 늘었다 (0) | 2023.09.23 |
상한제 기본형 건축비 1.7% 상승…분양가 더 오르나 (0) | 2023.09.21 |
'악성 미분양' 감소…시장 회복 신호? (0) | 2023.09.20 |
인스타 보고 맘에 든 집 '허위 매물'… 엉터리 부동산 광고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