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별로 살펴보면 실제 거래된 가격이 부동산원과 KB가 내놓은 매매가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 지난해 상반기 거래된 서울 강남구 은마아파트
(76.8㎡)는 총 7건(21억~25억원)인데 이 중 1건을 제외한 6건의 거래는 모두 부동산원이
당시 내놓은 은마아파트 상·하한 시세 범위에 들어가지 않았다. 심지어 KB 통계의
시세 범위는 7건 모두 실거래가를 비켜갔다. 거래량 자체가 워낙 적은 상황에서
두 기관이 중개업소 의견을 종합해 내놓는 시세 파악이 부정확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84.9㎡)는 지난해 총 4건(16억~18억원)만 거래됐다.
이때 부동산원은 한 해 통틀어 시세를 3번만 조정했다. 하지만 거래량이 적어도 실제
아파트값은 짧은 시기에 빠르게 떨어지면서 부동산원이 9, 12월 내놓은 매매가
하한가격이 모두 실거래가를 6000만~8500만원 웃돌았다.
시장 흐름 자체를 잘못 읽는 경우도 있었다. 부동산원과 KB 조사값이 시장의 상승·하락
흐름과 정반대로 나오는 식이다. 경기 아파트 ㎡당 실거래가는 2021년 3월 529만원에서
9월 674만원까지 상승한 뒤 하락해 이듬해 10월 544만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부동산원 동향조사는 2021년 6월 594만원에서 12월 766만원까지 상승했고,
2022년 10월 728만원으로 소폭 하향 조정됐다. 10월 기준 ㎡당 매매가가 184만원
차이나는 것이다.
표본에 따라 아파트값 조사 결과가 출렁이기도 했다. 부동산원이 조사 표본을 교체한
2021년 6월 노원구 아파트 ㎡당 매매가는 6월 770만원에서 한 달 만인 7월 1073만원으로
급상승했다. 보고서는 “부동산원이 표본을 교체하면서 가격이 높은 아파트들이 표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두 기관의 부정확한 통계는 표본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조사 단위가 주간으로 지나치게 짧은 상황에선 표본이 거래될 확률이 애당초 매우 낮아
이 과정에서 부정확한 숫자가 거래가격으로 반영될 여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두 기관은 표본이 거래가 안 될 때 시세와 부동산중개업소 의견을 반영하거나,
중개업소가 입력한 값을 그대로 매매가격으로 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조사원의 자의적 판단이 개입된 가상의 가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도시연구소는 “(주간 조사는) 속보성 자료 생산을 위해 정확성을 희생한 것”이라며
“정부와 개인의 의사결정에 잘못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에 폐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https://v.daum.net/v/20231009214449151
'ღ(˘ܫ˘) = 공인중개사 시험 > 시험 준비 - 실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경매도 ‘양극화’…낙찰율은 저조하지만 낙찰가율은↑ (0) | 2023.10.18 |
---|---|
LH 행복주택, 절반은 계약 포기 (0) | 2023.10.17 |
주택 증여 비중, 3년2개월 만에 '최저' (0) | 2023.10.15 |
오피스텔이 어쩌다가…반값에 나와도 외면 (0) | 2023.10.14 |
대전역세권·원도심 개발 위한 특구법 국회 통과 (0) | 202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