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전용 59㎡ 미만 아파트의 올해 1~9월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10.74 대 1로, 작년 연간 평균치(5.56 대 1)보다 93% 높아졌다. 작년 6.18 대 1에서
올해 9.89 대 1로 60% 증가한 전용 84㎡에 비해 오름폭이 더 가팔랐다.
전용면적이 85㎡를 넘는 대형 아파트는 같은 기간 10.51 대 1에서 9.32 대 1로
줄어들며 청약시장에서 인기가 시들해진 것과 대비된다.
최근 분양한 수도권 소형 아파트가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사례도 적지 않다.
서울 동대문구 ‘e편한세상 답십리 아르테포레’와 관악구 ‘힐스테이트 관악센트씨엘’,
성동구 ‘청계 SK뷰’, 동대문구 ‘래미안 라그란데’ 모두 전용 59㎡ 일부 타입이
100 대 1 넘는 경쟁률을 나타냈다. 연내 수도권에서 소형 물량이 다수인 분양시장
‘기대주’가 쏟아질 예정이라 인기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르면 11월 공급 예정인 송파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총 1265가구)은
일반분양 물량 299가구 중 248가구가 전용 60㎡ 이하(전용 49㎡ 184가구,
전용 59㎡ 64가구)다. 이달 16일부터 청약을 받는 경기 광명 ‘트리우스 광명’
(3344가구)에선 초소형인 전용 36㎡가 142가구 공급된다. 은평구 ‘은평자이 더스타’도
전용 49㎡ 일부 물량을 공급 중이다.
매매 시장에서도 소형 아파트는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서울에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면적대는 전용 40㎡ 초과~60㎡
이하(0.56%)였다. 전용 60㎡ 초과~85㎡ 이하(0.53%), 전용 102㎡ 초과(0.40%)가
뒤를 이었다. 반면 지방은 아직 ‘넓은 집’에 대한 선호 추세가 유지되는 편이다.
https://v.daum.net/v/20231012174804850
"혼자 사는게 편해서" 너도나도 찾더니…인기 폭발한 아파트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1~2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소형 아파트 인기가 치솟고 있다. 전국 전용면적 60㎡ 미만 소형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은 1년 새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서울의 경우 ‘국민평형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값아파트’ 토지임대부 vs 지분적립형 뭐가 다를까? (0) | 2023.10.21 |
---|---|
서울시, 정비사업서 '학교용지' 공공용지로 관리한다 (0) | 2023.10.20 |
부동산 거래 줄고 매물은 늘고…"숨 고르기" vs "반등은 끝났다" (0) | 2023.10.18 |
주담대로 집 산 10명중 6명 "작년보다 이자 부담 늘었다" (0) | 2023.10.17 |
계속되는 유찰에 시공사 찾기 쉽지 않네 (0)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