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부동산 거래절벽과 집값 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2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올해 하반기 경제 상황 악화로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0.7%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부동산시장 전망을 발표한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올해 상반기에 새 정부 출범 등 주택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거시경제 악화로 집값 상승폭은 전국 기준 0.2%로 제한적이었다"면서
"하반기에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돼 가격
변곡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올해 상반기 집값 상승분을 고려할 때 연간으로는 0.5%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 주택가격도 상반기 보합, 하반기는 0.5% 떨어져 연간 0.5%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분양가 상한제 개편과 공사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 인상 요인이 있고, 또 전월세 가격 인상 등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수요자의 소극적인 시장 참여로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통근이 편리한 지역에 대한 선호는 여전한 만큼 이에 소외된
지역부터 매매가격의 하락이 시작될 것"이라며 "시장 차별 차별화가 나타날 것"으로 말했다.
전셋값은 상반기 0.1% 상승에 이어 하반기에는 이보다 높은 2.5%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연간으로는 2.6% 오르는 것이다.
상반기에 전셋값이 크게 오르지 않은 것은 전세가에 부담을 느낀 임차인들이 월세
및 반전세 유형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하반기에 갱신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도 전세가 상승분에 대한
부담이 커 월세·반전세를 택하는 세입자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하반기에는
주요 지역내 공급물량이 줄면서 전세가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지난 21일 발표된 임대차 시장 보완 방안에 따르면 임대차 시장의 상승압력
해소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력한 것으로 보이지만 2년 혹은 4년 만에 집을 구해야 하는
세입자의 부담은 상당한 수준"이라며 "계약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8월 이후 임대차
시장에서 들려오는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220627152039647
"집값폭등 변곡점 온다..하반기 전국 0.7% 하락" 전망 | Daum 부동산
<이하 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올들어 부동산 거래절벽과 집값 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는 상반기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realestate.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솟는 물가에 가스비·전기세도 인상 (0) | 2022.06.28 |
---|---|
7월 아파트 입주 물량 연내 최대..충청권은 저조 (0) | 2022.06.28 |
1기 신도시 4개 단지, 용적률 300% 적용해봐도.."재건축 안 하는 게 낫다" (0) | 2022.06.27 |
용산·강남도 꺾였다… 서울 집값, 현장 분위기 ‘싸늘’ (0) | 2022.06.27 |
집에 불이 났는데 감식 결과는 '원인 불명'…"세입자인 제가 돈 물어내야 하나요?"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