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주거비와 ‘나를 위한 취미 공간’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들을 위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른바 ‘셀프스토리지’로 불리는 공간임대시장이다. 집값 상승과
더 많은 공간을 원하는 수요가 맞물려 국내에서 이 시장은 지난해부터 약 1년간
56.4%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처도 계절용품 보관부터 기업 문서 저장,
수집품 보관 등 다양하다.
○1년 새 쑥 큰 ‘나만의 창고’ 시장
셀프스토리지는 토지비용 등이 올라가면서 생겨난 신개념 부동산
전대(재임대) 비즈니스다. 국내에선 다소 생소하지만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돼 있다.
오피스, 주택 등 본연의 역할이 있는 부동산 외에 별도의 공간이 있어야 하는
수요를 겨냥한 상품이다. 이삿짐 보관부터 기업 문서 저장, 소규모 물류 거점,
미술품과 같은 고가 수집품 보관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된다.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및 투자 관리 회사 존스랑라살(JLL)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셀프스토리지 지점은 지난 5월 기준 300개다. 1년 전(192개)보다 56.4% 늘었다.
국내 셀프스토리지 지점의 약 53.0%는 서울에 있다. 이어 경기(30.4%)와
부산권역(부산·울산·경남, 7.8%) 순이다.
국내에서 셀프스토리지가 활성화되는 것은 주거 비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셀프스토리지 지점이 서울 등 주거비가 높은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지점은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과 사업체 수, 생활인구 수 등과 비례해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JLL은 “인구밀도와 셀프스토리지 지점 수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주거 비용이 높은 곳일수록 셀프스토리지 이용에 호의적이고, 기업이 많은 곳일수록
유동 인구와 기업 간 거래(B2B) 수요를 기대한 공급이 많다”고 분석했다.
https://v.daum.net/v/20231110173902840
"캠핑장비 어쩌나"…'나만의 창고' 뜨더니 1년 만에 '껑충'
비싼 주거비와 ‘나를 위한 취미 공간’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들을 위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른바 ‘셀프스토리지’로 불리는 공간임대시장이다. 집값 상승과 더 많은 공간을 원하는 수요가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DSR 규제 움직임에…서민·청년층 "어떻게 살라고" (0) | 2023.11.20 |
---|---|
지역주택조합?…토지○○○ 알면 사기 안당하죠 (0) | 2023.11.18 |
공인중개사, 세입자에게 집주인 체납정보 설명 안하면 과태료 (0) | 2023.11.16 |
수도권 아파트 매물 다시 쌓여… 입주전망지수 70선대 하락 (0) | 2023.11.15 |
"철근·콘크리트 하도급 금지" 부실공사 사전차단 (0)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