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세 끼고 사는 사람이 절대다수인 동네인데
다 끝난 거죠. 부동산도 장사 안 될 게 뻔해요.
오세훈 서울시장이 되지도 않을 걸 해서.”
서울 용산구에 있는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 얘기다.
인근 다른 중개업소 관계자는 “전세 끼고 시세보다 5000만원 내린
매물이 있었는데 집주인이 가격을 더 내려도 좋으니 이번 주 안에
꼭 팔아달라고 읍소를 하더라”고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확대 지정한 지 하루 만에 해당
지역은 발칵 뒤집혔다.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중개업소 대표는
“당장 거래가 끊길 게 제일 걱정”이라고 했다. 다른 중개업소 관계자는
“인근에는 벌써 1억~2억원 낮춘 급매가 나왔다”고 전했다.
토허제 4구는 전세를 낀 ‘갭투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국토교통부가 강남 3구의 ‘임대차계약 승계비율’을 조사한 결과,
올해 2월 기준 갭투자 비율은 43.6%였다. 서울 전체 평균(37.5%)을
웃돈다. 지난해 1~7월 기준으로 용산구의 갭투자 비율은 66.5%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1위다.
토허제 때문에 24일부터 이들 지역에선 전세를 낀 아파트 거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이 부동산 시장 불안을 키웠다.
지난 19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모든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집값 상승 요인을 차단하겠다”고 했지만, 6개월 전만 해도 정반대
발언을 했다. 지난해 9월 30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어떻게든 서울 지역의 집값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자,
최 대행이 “특정 지역의 집값을 잡는 것이 정부 주택정책의 목표는
아니다”고 반박했다. 같은 달 25일 최 대행은 관훈토론회에서도
“윤석열 정부의 주택정책 목표는 집값을 잡는 게 아니라
국민의 주거 안정”이라며 “과거처럼 집값을 쫓아다니며
규제하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한편 토허제 재지정 직전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계속
상승 폭을 키워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25% 상승했다.
이달 17일 기준 집계된 것으로 전날 토허제 확대 지정 효과는
반영되지 않은 수치다. 토허제 해제 이후인 2월 셋째 주부터
이달 둘째 주까지 상승 폭은 0.06→0.11→0.14→0.20%로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https://v.daum.net/v/20250321004951889
‘토허제 4구’ 묶은지 하루만에…2억 내린 급매물도 나왔다
“여기는 전세 끼고 사는 사람이 절대다수인 동네인데 다 끝난 거죠. 부동산도 장사 안 될 게 뻔해요. 오세훈 서울시장이 되지도 않을 걸 해서.” 서울 용산구에 있는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 얘기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하수도요금 매년 9.5% 올린다 (0) | 2025.03.05 |
---|---|
전국 미분양 주택 두달째 증가 '수도권서 급증' (0) | 2025.03.01 |
외국인 집주인 전세금 ‘먹튀’ 막는다 (0) | 2025.02.15 |
교통 좋은 입지에 공공주택 대거 공급…'3기 신도시' (0) | 2025.02.08 |
작년 서울 상가임대차 분쟁조정 신청 195건…계약해지 최다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