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하수도 요금을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매년 9.5%씩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년간 하수도 요금이 동결된 탓에 대형 싱크홀이
곳곳에서 발생하는 등 요금을 대폭 올릴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에 따른 조치다.
서울시는 내부 물가위원회 논의를 거쳐 이 방안을 이르면
이달 안으로 서울시의회에 보고하고 본격적인 인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2030년까지 요금 현실화율
80%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인상 기간을 5년으로 잡은 것은 연평균 인상률을 1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서다. 구체적으로 가정용 하수도 요금은 현행 t(톤)당
400원(30톤 이하 구간)에서 2026년 톤당 480원,
2030년 톤당 770원까지 올린다.
현재 적용 중인 누진세는 폐지한다. 그간 가정용 요금 누진제 구간은
△30톤 이하 △30톤 초과 50톤 이하 △50톤 초과 등 세 구간으로
나뉘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30톤의 사용량을 넘기지 않는 만큼
누진제 적용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일반용 하수도 요금에는 누진제가 유지되지만 누진제 구간이
일부 통합된다. 기존 6개로 구분됐던 구간이 4개로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가정용 하수도 요금 인상률을 더 높이고 일반용
인상률은 낮춘다. 연구에 따르면 하수도 사용량 대부분(69.6%)이
가정용인데 업종 간 요금 단가 격차에 따른 가정용 요금 손실을
일반용에서 보조하는 상황이었다.
https://v.daum.net/v/20250304040002489
서울시 하수도요금 매년 9.5% 올린다
서울시가 하수도 요금을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매년 9.5%씩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년간 하수도 요금이 동결된 탓에 대형 싱크홀이 곳곳에서 발생하는 등 요금을 대
v.daum.net
'ღ(˘ܫ˘) = 부동산 이야기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허제 4구’ 묶은지 하루만에…2억 내린 급매물도 나왔다 (0) | 2025.03.22 |
---|---|
전국 미분양 주택 두달째 증가 '수도권서 급증' (0) | 2025.03.01 |
외국인 집주인 전세금 ‘먹튀’ 막는다 (0) | 2025.02.15 |
교통 좋은 입지에 공공주택 대거 공급…'3기 신도시' (0) | 2025.02.08 |
작년 서울 상가임대차 분쟁조정 신청 195건…계약해지 최다 (0) | 2025.02.05 |